티스토리 뷰

반응형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자 (내년 하반기 출시)

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
청년 306만명 혜택
월 40~70만원 납입하면
정부에서 3~6% 지원

 

윤석열 정보의 핵심 청년 공약이 있었죠? 바로 '청년도약계좌'인데요. 내년 하반기에 출시될 예정이며 이르면 내년 6월에 출시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5년동안 5,000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이니 주의깊게 살피셔야할 것 같아요.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비교>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가입대상 만19~34세 청년
(병역이행기간 제외)
만19~34세 청년
(병역이행기간 제외)
소득요건 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 및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개인소득 3,6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투자형태 적금형, 투자형 중 선택 적금
납입금액 월 최대 40~70만원 월 최대 50만원
정부지원금 3~6%
(월 지급)
1년차 2%, 2년차4%
(만기 지급)
만기 5년 2년

 

목차
1. 도입배경
2. 투자형 상품?
3. 메리트가 있는 상품인지?

 

#1 도입배경


청년도약계좌는 윤 대통령이 청년층의 표심을 잡기 위해 야심차게 내놓은 대선공약입니다. 청년층의 자산 형성 기회를 만들어주겠다며 약속한 정책금융 상품인데요.

 

현재까지 설계안을 보면 개인소득이 6,000만 원 이하이면서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인 만 19∼34세 청년만 가입할 수 있으며, 소득이 없는 청년은 가입할 수 없습니다.

 

#2 투자형 상품?


투자형 상품은 아직 논의 중으로 알고 있습니다. 개인이 납입한 원금으로 주식이나 채권 등에 투자를 할 수 있는데요. 다만 투자로 손실을 보았을 때에도 납입원금에 맞춰서 정부 기여금을 지급한다고 합니다.

 

투자 손실을 혈세로 매꿔준다는 비판의 목소리와 함께 형평성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게 사실이라면 적금형보다는 투자형을 선택하는 것이 큰 이점이 될 수도 있겠네요. 그러나 아직 확정이 아닌만큼 어떻게 출시될지는 미지수이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해 보입니다.

 

#3 메리트가 있는 상품인지?


금융권에서 출시하는 예·적금 금리도 오르는 추세여서 5년 만기 상품이 얼마나 메리트가 있을지는 지켜봐야 될 것 같습니다. 현재 출시한 예금상품만 하더라도 12개월 만기 기준 5% 금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5년동안 현금이 묶이는 청년도약계좌보다는 일반 예금상품이 훨씬 메리트가 있어보입니다.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생각이에요.

 

 

윤석열 정부 핵심공약 중 하나인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았는데요. 아직 계획안인만큼 출시까지 면밀히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주요 은행별 정기예금 금리비교방법 (금리순위)

최근 들어 많은 사람들이 금융권 예금상품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식과 코인, 부동산에 대한 투자가 매우 불안한 시기이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투자하여 일정한 소득을 올릴 수 있는 예금

daily-review-han-day.tistory.com

 

주요 은행별 적금금리 비교방법 (적금금리순위)

최근 들어 많은 사람들이 금융권 예적금 상품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식과 코인, 부동산에 대한 투자가 매우 불안한 시기이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투자하여 일정한 소득을 올릴 수 있는 예

daily-review-han-day.tistory.com

 

예금과 적금 차이점, 나에게 유리한 저축 선택하기

주식과 코인, 부동산에 대한 투자가 매우 불안한 시기인만큼 안전한 은행권 저축성 상품으로 눈길을 돌리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일획천금이 아닌 한푼 두푼 저축하여 목돈을 마련하자

daily-review-han-day.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