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교통비 절약하는 법> 알뜰교통카드 신청 사용법 비교 앱

&lt;교통비 절약하는 법&gt; 알뜰교통카드 신청 사용법 비교 앱

오늘은 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는 알뜰교통카드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2023년 1월부터 알뜰교통카드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저소득층은 최대 39,000원, 청년층(만 19~39세)은 28,600원의 요금을 아낄 수 있게 혜택이 강화되었습니다.

 

알뜰교통카드가 무엇인지부터 시작해서 그리고 마일리지 적립 기준이 어떻게 되는지, 사업 대상 지역이 어디인지 등 알뜰교통카드의 대해 모든 것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알뜰교통카드'란?
2.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 기준
3. 지하철 정기권과의 비교
4. 사업 대상 지역
5. 알뜰교통카드 신청 및 가입방법

 

#1 '알뜰교통카드'란?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하여 지급하고, 카드사의 추가 할인 혜택을 포함해 대중교통비를 최대 30%까지 절감할 수 있는 교통카드입니다.

 

대중교통 이용시 별도 앱을 이용해서 최초 출발지 → 출발정류장까지 도보/자전거 이동 거리 및 도착 정류장 → 최종 도착지까지 도보/자전거 이동거리를 감안하여, 대중교통 운임의 일정 비율을 마일리지로 적립해 주는 방식입니다.

 

가입 시에는 주로 사용하는 출발역과 도착역을 기입하게 되어 있어 그 구간만 사용 가능한 것으로 오해할 수도 있지만, 앱과 발급된 전용 교통카드를 사용한다는 가정 하에 대중교통 이용 내역 전부가 적용 대상입니다.

 

 

#2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 기준


1회 교통요금
지출액
2천원 미만 2천원~3천원 3천원 이상 비고
일반 - 현행유지
(월 상한)
~250원
(11,000원)
~350원
(15,400원)
~450원
(19,800원)
보행·자전거 이동거리(최대 800m)에 비례하여 지급
청년층 - 신설
(월 상한)
~350원
(15,400원)
~500원
(22,000원)
~650원
(28,600원)
저소득층 - 상향
(월 상한)
250원 → 500원
(22,000원)
500원 → 700원
(30,800원)
650원 → 900원
(39,600원)
  • 정기적 통근(월 22일) 지원 차원에서 월 44회 이용 시까지 지급
  • 차상위계층 및 기초생활수급자는 관할 주민센터에서 발급받은 증빙서류를 회원가입시 등록 필요
  • 지급 조건 :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3 지하철 정기권과의 비교


알뜰교통카드는 버스가 포함된 통행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환승이 많거나, 지하철이 없거나 있더라도 정기권 제도가 없는 도시에서는 꽤 유리합니다.

 

반응형


다만 지하철만 타고 다닌다면 경우에 따라 일반 정기권을 끊는 게 나을 수 있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 신분당선만 타고 용인시 수지구에서 서울특별시에 있는 강남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월 44회를 이용한다고 가정

  • 운임 2,950원(성복역 - 강남역 편도 운임)을 기준으로 1회 통행에 350원씩 할인
  • 이 구간을 왕복할 수 있는 13단계 수도권 전철 정기권(기준운임 2,650원에서 15% 할인*44회=99,100원)을 이용할 경우 회당 약 630원 정도 할인을 받을 수 있음. 정기권은 월 60회 이용이 가능하기에, 잔여횟수로 다른 구간도 이용 가능하기에 할인 폭은 훨씬 더 커짐

신분당선 외 일반 수도권 전철은 알뜰교통카드와 효율이 비슷하나, 지하철 이용이 많을 경우 중간에 버스로 갈아타지 않는 이상 일반 지하철 정기권을 쓰는 편이 나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신도시 역세권에 거주할 경우 상황에 따라 GPS상 도보거리가 800m 안 나오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해야합니다.

부산 도시철도의 경우는 30일권이 60,000원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알뜰교통카드와 효율이 엇비슷합니다. 이 편도 지하철 이용이 굉장히 많을 경우 정기권을 끊는 게 낫습니다.

 

 

#4 사업 대상 지역


  • 서울특별시 전역
  • 부산광역시 전역
  • 대구광역시 전역
  • 인천광역시 전역
  • 광주광역시 전역
  • 대전광역시 전역
  • 울산광역시 전역
  • 세종특별자치시 전역
  • 경기도 전역
  • 강원도 춘천시, 강릉시, 원주시
  • 충청북도 청주시, 옥천군, 제천시
  • 충청남도 전역
  • 전라북도 전주시, 완주군, 익산시, 남원시, 군산시, 정읍시
  • 전라남도 무안군, 순천시, 신안군, 목포시, 여수시, 해남군, 광양시, 나주시
  • 경상북도 포항시, 경주시, 영주시, 김천시, 영천시, 구미시, 상주시, 경산시, 칠곡군
  • 경상남도 창원시, 거제시, 김해시, 밀양시, 산청군, 진주시, 창녕군, 양산시, 통영시, 고성군, 사천시, 함안군, 의령군, 남해군, 하동군, 함양군, 거창군, 합천군
  • 제주특별자치도 전역

 

#5 알뜰교통카드 신청 및 가입방법


  1. 알뜰교통카드 누리집에서 카드신청 및 카드수령
  2. '알뜰교통카드' 앱 검색 후 설치 (구글 Play 스토어, 원스토어, 갤럭시스토어, 앱스토어 등)
  3. '알뜰교통카드' 앱 상단 우측 "줄 3개" 누른 후 회원가입
  4. 회원정보 입력화면 하단 "저소득층 증빙서류 등록하기" 버튼 클릭 후, 서류 사진 등록
  5. 대중교통 승하차 전 출발지와 도착지에서 '알뜰교통카드' 앱을 실행하여 '출발/도착' 버튼 클릭

<사용방법>

알뜰교통카드 사용법
출처 : 알뜰교통카드

<사용예시>

알뜰교통카드 사용예시
출처 : 알뜰교통카드

알뜰교통카드 신청하러가기

 

지금까지 알뜰교통카드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알뜰교통카드는 우리은행, 하나은행, 신한은행에서만 발급하다는 점 유의하시면 되겠습니다. 지금까지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모든 전자증명서 발급을 한 번에 - 국민연금공단 모바일 앱

언제 어디서든 필요한 서류를 온라인으로 쏙! 출력 없이 증명서 발급받으세요. 국민연금공단 모바일 앱 「내 곁에 국민연금」에서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등·초본’ 등 14개 기관 50종의 타 기

daily-review-han-day.tistory.com

 

이제 온라인으로 편리하게 청원하세요 (청원24 서비스시행)

행정안전부에서 2022년 12월 23일부터 온라인으로 편리하게 청원 가능한 '청원24' 서비스를 개시합니다. 지금까지 청원은 기관에 직접 방문하거나 우편 등으로만 접수할 수 있어 불편하였는데 편

daily-review-han-day.tistory.com

 

<나의건강기록> 흩어진 나의 건강정보를 한 눈에 보기

그동안 병원에서 받았던 예방접종, 건강검진, 진료, 투약이력 등 모든 건강기록을 볼 수 있는 앱이 생겼습니다. 바로 보건복지부(PHR)에서 제작한 '나의건강기록'이라는 앱인데요. 이 앱은 공공기

daily-review-han-day.tistory.com

반응형
댓글